『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은이: 룰루 밀러

1. 언어적 거세 – 인간은 언어를 이용해 동물을 지운다 "물고기"라는 분류조차 실은 인간의 착각일 수 있다는 이야기처럼, 우리는 언어를 통해 세계를 분류하고 해석하지만, 그것은 자의적이며 진실과 다를 수 있다. 동물을 특정한 이름이나 범주에 가두면서, 우리는 그들의 개별성과 생명의 고귀함을 무력화시키곤 한다. →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가 자연에 어떤 폭력을 가하고 있을까?

2. 신념 있는 사람의 위험성 – ‘자유로부터의 도피’ 확고한 신념은 때로 사람들을 쉽게 끌어당긴다. 조던의 이념, 혹은 아버지의 단단한 세계관에 사람들이 쉽게 끌린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에리히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처럼, 확실성을 가진 사람을 따르고 싶은 심리는 인간 본성일지도 모른다. → 확고한 신념을 가진 사람은 언제 ‘지도자’이고, 언제 ‘위험’일까?

3. 열정은 어디서 오는가 – 허무한 세계에서의 끈질긴 추구 데이비드 스타 조던과 화자의 아버지는 과학이 실체 없음을 알면서도 한없이 열정을 쏟는다. 실체 없는 진실을 좇는 이 열정은 허무에 대한 반작용일까, 혹은 그 자체가 생의 의미일까? → 의미 없는 세계에서, 우리는 왜 무언가를 끝없이 탐구할까?

4. "그들에게는 그들이 중요한 것처럼 행동하라" – 무심함 속의 공존 책 속 인용문처럼, 모든 존재는 우주의 관점에선 중요하지 않을지 몰라도, 우리는 서로에게 중요한 사람처럼 행동해야 한다. 이는 허무함 속에서도 윤리를 가능하게 하는 삶의 태도이자, 인간관계의 새로운 철학이다. → ‘중요하지 않지만 중요한 척’하는 태도는 위선일까, 연대일까?

5. 정신은 유전된다 – 부모의 세계관이 아이를 삼킨다 화자와 언니는 아버지의 허무주의적인 세계관 아래 성장하며 우울과 자해를 겪는다. 아이는 부모의 말보다 세계를 바라보는 눈을 배운다는 것을 드러낸다. → 양육자(부모)의 철학과 태도는 아이의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